IT/JAVA27 JAVA - Collection 3) 예외처리 예외 처리란?예기치 않게 발생하는 에러에 대응할 수 있는 코드를 미리 사전에 작성하여프로그램의 비정상적인 종료를 방지하고, 정상적인 실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것! 내부적인요인 - 개발자의 코드 에러 에러의 발생 시점이 다를수 있음발생시점에 따라 에러를 컴파일 에러와 런타임 에러로 구분할수 있음 코드에 논리적인 오류가 있으면 발생하는 논리적 에러까지 세가지로 구분할수도 있음. 컴파일 에러와 런타임 에러 컴파일 에러 컴파일할때 발생하는 에러주로 세미콜론 생략, 오탈자, 잘못된 자료형, 잘못된 포맷 등문법적인 문제를 가리키는 신택스(syntax) 오류로부터 발생 빨간 줄로 친절하게 에러의 위치를 표시해 주는 것 런타임 에러런타임시에 발생하는 에러즉 프로그램이 실행이 될때 만나게 되는 에러임런타임 에러는 .. 2024. 11. 29. JAVA - Collection 2) 제네릭 제네릭 지금까지 클래스는 필드에서 정해진 타입만 담을수 있었음class BasketString { private String item; ... }class BasketInteger { private int item; ... }class BasketChar { private char item; ... }class BasketDouble { private double item; ... }이런식으로 타입마다 클래스를 만들어야 함 안에 있는 요소의 타입을 만드는 시점에 동적으로 타입? 지정할수 있음 타입을 약간 미지로 남겨놓는 형태 -> ex) class Basket { private T item; public Basket(T item) { this.item = item; } .. 2024. 11. 29. JAVA - Collection 1) 열거형 열겨형 - 상수 집합 / 상태처리 할때 많이 사용함 열거형여러 상수들을 보다 편리하게 선언할수 있는 문법 요소상수란? 변하지 않는 것 (요일, 계절, 동서남북, 12개월...) final 키워드 사용실제로 쓸때 현실세계에 쓰기보단 상태에 많이 사용(회원의 상태, 상품의 상태, 상품의 옵션...등등) class Seasons { public static final Seasons SPRING = new Seasons(); public static final Seasons SUMMER = new Seasons(); public static final Seasons FALL = new Seasons(); public static final Seasons WINTER = new Seaso.. 2024. 11. 29. JAVA - 객체 지향 심화 3) 추상화 추상 - 사물이나 표상을 어떤 성질, 공통성, 본질에 착안하여 그것을 추출하여 파악하는것추상화란기존 클래스들의 공통적인 요소들을 뽑아서 상위 클래스를 만들어 내는 것이렇게 공통적인 속성과 기능을 모아서 정의해 주면 코드의 중복을 줄일 수 있고, 보다 효과적으로 클래스 간의 관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해짐 자바에서는 주로 추상 클래스와 ★ 인터페이스 ★ 라는 문법 요소를 사용해서 추상화를 구현두가지로 나누는 이유는? 클래스를 상속받는건 하나이지만 인터페이스는 인크리먼트(구현) 가 가능하기에 abstract 제어자 abstract = 미완성abstract 는 주로 클래스와 메서드를 형용하는 키워드로 사용되는데, 메서드 앞에 붙은 경우를 ‘추상 메서드(abstract method)’, 클래.. 2024. 11. 27. 이전 1 2 3 4 5 6 7 다음